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 정보

베트남 전쟁 영화(다큐) / 베트남 전쟁 미국 개입 / 베트남 전쟁 원인 / 월남전

The Vietnam War 2017 리뷰

THE VIETNAM WAR / 10부작 다큐

"베트남 전쟁 영화(다큐) / 베트남 전쟁 미국 개입 / 베트남 전쟁 원인 / 월남전"

 


THE VIETNAM WAR 1부, 데자뷰(Deja Vu)

THE VIETNAM WAR 1부 : 데자뷰

1부에서는 베트남 전쟁의 원인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 전반적인 배경을 설명한다.

간단히 요약하려고 하나, 직접 보는 게 가장 좋을 것 같다.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침략이 있었다.

 

1919

1차 대전에서 연합국이 승리하면서, 파리에서 회의가 열렸다.

호치민은 베트남에도 자유가 필요하다는 탄원서를 파리로 가져 갔다.

 

잠시 호치민에 대해 얘기하자면,


호치민

호치민

1890년생

프랑스 식민지배 시절, 아버지는 하급 관리

프랑스에 반대하는 데모를 하다 수배령이 떨어지고,

1911년 해외로 망명(뉴욕, 런던, 파리 등)

파리에서 공산당에 가입

이후 모스크바에서 유학한 뒤

중국으로 건너가 인도차이나 공산당 설립을 목적으로

비밀조직을 결성

 


이어서 계속 설명하면,

1940

2차 세계대전 발발으로

독일이 유럽 전역을 점령하고, 일본은 아시아의 유럽 식민지를 위협한다.

(그러면서 일본은 베트남을 점령하고 있던 프랑스를 지지한다.)

 

1941

호치민은 베트남으로 귀국하여 베트남 독립연맹이라고 하는 베트민(VIET MINH) 결성한다.

동시에, 훗날 잡 장군이 된 보응우옌잡과 손 잡는다.(잡 장군은 게릴라 전술의 이론을 확립했다.)

"어디에도 있고, 어디에도 없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미국은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동맹군이 필요했는데,

베트민과 손 잡기 딱 좋았다.

호치민은 미국을 '민주주의의 챔피언'이라고 했다.

 

1945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한다.

프랑스를 지지하던 일본이 사라지자, 베트남에서는 전국적 봉기가 시작된다.

바딘 광장

이때, 호치민은 첫 공식석상에 등장한다.(바딘 광장)

 

2차 대전 후

프랑스 샤를 드골 대통령

'미국이 프랑스 식민지의 독립을 고집하면, 프랑스는 소련에 밀릴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그래서 내린 결론은, 베트남의 남쪽은 영국이 대신 지배하고, 북쪽은 중국 독립군이 지배한다는 거였다.

회의에서 결론은 저렇게 내렸으나, 실제로는 프랑스가 다시 영국을 대신해서 베트남을 점령했다.

동시에, 베트민도 활동했다.

낮에는 프랑스가, 밤만 되면 베트민이 활동하는 세상이 됐다.

(베트남인 입장에서는 두 명의 폭력배와 살았다는 표현을 한다.)

 

1949

소련의 핵실험이 성공한다.

마오쩌둥의 공산당은 중국을 점령한다.

그리고 소련과 중국은 베트민을 지원했다.(공산주의 확장 목적)

이에 대항하여 미국 트루먼 대통령은 프랑스를 지원했다.

 

1950

북한이 우리나라를 침략한다.(중국의 지원에 힘 입어)

미국을 비롯한 자유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우리나라는 자유민주주의를 지켜냈다.

 

"베트남 전쟁 영화(다큐) / 베트남 전쟁 미국 개입 / 베트남 전쟁 원인 / 월남전"

 

1953

남북한이 38도선을 기준으로 휴전을 한다.

그 사이, 베트민은 소련과 중국의 지원으로 현대화된 군대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1954

프랑스도 베트남에서 휴전을 하려 한다.

호치민도 찬성했다.

그러나 휴전협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디엔비엔푸 전투 후 프랑스가 항복을 선언한다.

같은 해에, 제네바에 각국 외교관들이 모여서 회의를 했다.

베트남을 17도선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누고,

남쪽은 프랑스가, 북쪽은 베트민이 차지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2년 내로 종전을 하기로 했다.)

응오딘지엠

휴전이 길어지면서, 응오딘지엠미국의 지원을 받아 정부를 설립한다.

베트남 남쪽을 프랑스군이 점령하고 있었는데,

응오딘지엠이 나타나서 남베트남 정부를 설립하려고 하니

프랑스는 이를 반대했다.

(그래서 프랑스는 응오딘지엠에 반대하는 세력인

빈수옌이라는 조직을 지원했다.)

프랑스의 이러한 의지로, 미국은 더이상 응오딘지엠을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

 

1955

응오딘지엠이 총공격을 감행하여 빈수옌을 몰아냈다.

어쩔 수 없이 미국은 다시 응오딘지엠을 지원하고, 마침 프랑스도 완전철수 의사를 밝혔다.

남베트남이 해방됐다.

그러나, 남베트남에는 여전히 공산주의자들이 남아 있었다.

그리고 북베트남에서는 호치민의 뒤에서 레주언이라는 강력한 지도자가 등장했다.

레주언은 베트남의 분단을 인정하지 않았고, 강력한 행동들을 취했다.

일례로, 몰래 라오스를 통해 남베트남으로 베트민 게릴라를 보내 지엠 정권에 대항했다.

(라오스를 통해 남베트남으로 가는 길은 '호치민 루트'라고 불렸다.)

 

1959

남베트남에 있는 베트민 게릴라가 미군 2명을 죽이는 일이 발생했다.

 

1960

케네디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남베트남에서는 레주언의 지원 하에

NLF(National Liberation Front)라고 하는 민족해방전선이 결성된다.

바로 이들을 COmmuNist traitors to the VIETnamese nation,

(베트남 국가에 대한 공산주의 반역자)

즉, VIET CONG(베트콩)이라고 불렀다.

 

베트남 전쟁(Vietnam War)이 발발한다.

"베트남 전쟁 영화(다큐) / 베트남 전쟁 미국 개입 / 베트남 전쟁 원인 / 월남전"